Python&Dev/퀀트
[금융공부] 블록체인 시장에서 꼭! 알아야할 주요키워드 - 1
SeokjunMan
2023. 12. 4. 21:36
요즘같은 상승장에 암호화폐의 주요 개념 및 트랜드가 될만한 키워드들에 대해 다시금 공부해보았다.
암호화폐 투자에 도움이 될만한 이 주요 개념들을 2편에 걸쳐서 정리해보려고 한다.
[ 개요 ]
< 1탄 >
1. Defi
2. STO
3. NFT
< 2탄 >
4. Real World Assets (RWA)
5. Hard pork
6. Staking
7. PoS, PoW
1. DeFi
개념
DeFi : 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
전통적인 금융 시스템을 대체 및 보완하는 블록체인 기반 탈중앙화 금융서비스를 의미한다.
말 그대로 은행같은 금융기관의 중앙집중형 기관이 없이도 스마트컨트랙트와 블록체인 기술로 금융거래를 한다.
대출, 예금, 거래, 자산관리 등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며 전 세계 어디에서나 이용가능하다.
장점
접근성 : 은행계좌나 금융서비스 없이도 이용가능하다.
투명성 : 블록체인 특성상, 전자장부인 만큼 모든 거래 기록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큰 신뢰성을 제공한다.
혁신성 : 새로운 형태의 금융 상품과 서비스가 제공가능하다.
단점
보안 : 스마트 컨트랙트의 특성상, 거래에서 버그나 해킹으로 인한 위험이 존재한다.
변동성 : 암호화폐 가격 변동성이 큰 만큼, 디파이 서비스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규제의 부재 : 아직 여러 국가에서 디파이에 대한 규제가 명확히 없어 법적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디파이 예시
Uniswap : 탈 중앙화 거래소(DEX)로, 사용자들이 중앙집중형 거래소 없이 토큰을 교환할 수 있다.
MakerDAO : 탈중앙화 대출 / 예금 플랫폼이다.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을 받거나 제공하여 이자를 얻을 수 있다.
Compound : 자동화된 대출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이다.
위 예시들은 실제 코인으로 있으며 나도 한번씩 매매를 해본 코인들이다.
정리
DeFi는 근 미래의 금융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전통적인 금융시스템한계를 극복하면서 동시에 보안 및 규제관련 위험성도 존재하니, 아직은 도전할 사항들이 많아보인다.
2. STO
개념
STO : Security Token Offering, 증권형 토큰 제공
기존 증권인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으로 발행하는 것이다.
이 토큰들은 실제 자산이나 수익을 대표할 수 있고, 전통적인 증권과 유사한 가치 및 권리를 가진다.
ICO(initial Coin Offering)과 달리, 증권법같은 금융 규제에 준수해야하며, 투자자보호를 위해 법적으로 충족시켜야 한다.
여기서 ICO란?
ICO는 신규 블록체인 프로젝트나 암호화폐가 초기 자금을 모집하기 위해 토큰을 공개적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투자자들은 신규 코인이나 토큰을 구매함으로써 해당 프로젝트에 자금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대가로 해당 신규 토큰을 받는다.
이 토큰들은 프로젝트가 성공하면 가치가 상승할 수 있다는 하이리스크 / 하이리턴의 성격을 지닌다.
장점
규제준수 : STO는 규제를 준수하기에 높은 신뢰성과 보안성이 있다.
자산유동화 : 실제 자산을 쉽게 분할하여 거래하므로, 자산의 유동성을 증대시킨다.
글로벌접근성 : 인터넷만 있다면 전 세계 어디서나 STO참여가 가능하다.
단점
높은 진입장벽 : 복잡한 규제준수 때문에, 발행자와 투자자 모두 높은 진입장벽이 있다.
제한된 시장 : 아직 STO시장은 초기단계이며, 전통 증권시장만큼 규모나 유동성을 갖추지 못했다.
예시
RealT : RealT는 부동산을 토큰화하여 투자자들이 부동산투자에 소액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 플랫폼이다.
3. NFT
개념
NFT : Non-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 토큰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생성된 말 그대로 고유한 대체불가능한 디지털 자산이다.
각각의 식별자(예를들어 바코드같은)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자산의 유일무이함을 보장한다.
따라서 절대 대체될 수 없다.
주로 디지털 아트, 음악, 비디오, 게임아이템 등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NFT에 적용될 수 있다.
장점
소유권의 명확성 : 디지털 소유권을 명확히 하여 창작자의 권리가 보호된다.
새로운 시장 창출 : 예술가, 음악가 등의 창작인들에게 새로운 수익 창줄 시장이 열렸다.
유일성/희소성 : 각 NFT의 유니크함이 수집가들에게는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될 수 있다.
단점
시장의 변동성 : NFT시장은 매우 변동성이 커서 예측하기 어려울 수 있다.
저작권문제 : NFT의 소유권과 실제 콘텐츠의 저작권 사이에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
환경문제 : 생성, 거래 시, 사용되는 코인(주로 이더리움)들에게서 많은 에너지를 요구하며 환경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예시
Beeple : 디지털아티스트 Beeple의 작품 중, The First 5000 Days는 NFT로 판매되어 약 693억의 가격에 낙찰되었다.
CryptoKitties : 블록체인기반 가상 고양이 수집게임으로 각 고양이는 독특한 NFT형태로 존재한다. 이 역시 가격이 높다.
NBA Top Shot : NBA의 하이라이트 순간 영상들이나 스냅샷을 NFT형태로 수집하고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