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분투 환경에서 터미널로 psql접속시, 자주 발생하는 에러에 대해 다뤄보았다.
저번 포스팅에서 psql 설치법에 대해 다루었는데,
< 지난글 psql 설치법 >
https://jayindustry.tistory.com/29
[PostgreSQL] PSQL설치 및 환경설정 - 리눅스 환경(우분투 22.04)
오늘은 회사에서 실제로 내가 설치한 PSQL설치법 및 환경설정을 포스팅한다. 터미널의 명령어로 설치하며 [설치 요약] 아래 [설치 상세]를 참고하여 환경설정까지 해보면 유용할 것이다. [ Postgresq
jayindustry.tistory.com
psql을 설치하고 유저db접속시,
peer관련 에러가 정말 자주 발생하였다.
상황
psql을 설치하고 seokjun 유저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아래처럼 seokjun 유저에서 seokjunDB를 만들고
이제 접속하려는데 peer관련 에러가 자꾸 발생한다.
이 에러때문에 psql을 지우고 다시 설치했는데도 똑같았다.
이유
이유는 인증방식의 오류라고 한다.
이전 포스트들을 참고해보니
처음 psql을 설치 시,
postgres계정으로 로그인이 되며,(유저가 아직 없으니)
이 계정은 superuser라서 peer 접속 방식으로 설정이 되어있다.
local + peer 방식으로 접속을 시도할 때의 방식이다.
허나, 유저를 생성하면서 접속 방식이 host + ? 으로 바뀌는데
?는 md5가 될 수 있고 pc 환경에 따라 다르다.
즉, 이렇게 접속방식이 달라지면서 생기는 오류라고 한다...
어쨋든 우리는 에러가 해결되서 잘 작동하기만 하면 되므로 간단히만 알고 넘어가자!
에러 해결
아래 사진참고하여 수정할 파일부터 찾기..
pg_hba.conf 이란 파일을 찾고 경로를 확인한 후, 아래절차를 따른다.
sudo find / -name pg_hba.conf 2>/dev/null
아래는 gpt4.0의 가이드이다.
참고하면 좋다!
이렇게 경로가 나오면 sudo vi 를 통해 파일 내용을 수정해야한다.
아래처럼 스크롤을 내려보면 METHOD바로 아래가 scram-sha-256이 아닌, peer로 되어있어서 에러가 뜨는것.
모든 pc가 scram-sha-256 라고 되어있는 것은 아니다.
다른 블로그 포스트들에서 md5로 바꾸라는 글들이 많은데,
본인 pc에서는 작동하지 않는것으로 보아 이는 pc마다 다른것같다.
내 pc의 psql의 경우엔 scram-sha-256으로 바꿔주어야 했다.
사진에서 하얗게 블록쳐있는 부분이 'peer'로 되어있다면 그 아래것으로 바꿔주자.
사진처럼 method 아래에 scram-sha-256으로 되어있기에(내 pc기준)
peer를 scram-sha-256으로 바꾸고 저장하였다.
이제 마무리!
esc -> :wq! (수정사항 저장)
그리고 다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DB접속성공!
'Back&Front End >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D 설계, 기본키, 외래키 (2) | 2023.12.26 |
---|---|
[쿼리문]리눅스 우분투환경에서 PostgreSQL (0) | 2023.12.07 |
[PSQL] DB 중간에 유실된 시계열데이터 넣기 (0) | 2023.09.24 |
[PostgreSQL] PSQL설치 및 환경설정 - 리눅스 환경(우분투 22.04) (2) | 2023.09.13 |